아직 오전 10시가 넘지 않았는데도 검진센터 안이 한가하다. 예약하신 분은 오지 않고 거기에 예약이 필요 없는 다른 검진을 받으러 오는 분도 유독 없는 날, 일 년 중에 몇 안 되는 그런 날이다. 좋게 말해 검진과 검진 사이에 여유가 생기는 날이다. 부인과에서 온 소변검사 컵을 병리실에 전하고 나오다가 문득 내시경검사실 쪽으로 고개가 돌려졌다. 거기엔 채혈을 마치고 진경제도 맞고 이제 내시경검사를 기다리는 000 님이 베드 위에 앉아계셨다. 조용하고 약간 어둑어둑한 내시경검사실 안에 별다른 표정 없이, 무심하게 검사를 기다리시는 모습이 왠지 쓸쓸해 보였다. 정말 아무 이유 없이 말이다. 그렇다고 내가 뭘 할 것도 없고 해서 그냥 접수대로 돌아와 앉았다.
⑥ 암검진 <공통 문진표>에 대하여
암검진으로 위내시경을 하든 분변잠혈검사를 하든 항목과 상관없이 작성하는 공통된 문진표가 있다. 물론 이 문진표도 내용은 전국 어디나 똑같다. 당연히 암과 관련된 질문들이다.
![](https://static.wixstatic.com/media/0716ed_390263a7c4244552b2f5dca8dcc08e94~mv2_d_1535_1535_s_2.jpg/v1/fill/w_72,h_72,al_c,q_80,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0716ed_390263a7c4244552b2f5dca8dcc08e94~mv2_d_1535_1535_s_2.jpg)
100화 못다 한 얘기, 앞으로 할 얘기들
어느새 100번째 글이 되었다. 숫자에 의미를 두는 편이 아니어서 그냥 하던 대로 소소한 일화 한 편으로 이어갈까 했지만 그래도 어찌어찌 여기까지 왔으니 마침표 하나 정도는 찍고 가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어떤 마침표가 어울릴까? 고민된다. 먼저 한번 돌이켜 보자.
![53 오늘 병원에서 01 copy.jpg](https://static.wixstatic.com/media/0716ed_d079fc54449c498a873df95ecc6f6f36~mv2_d_1520_1787_s_2.jpg/v1/fill/w_402,h_470,al_c,q_80,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53%20%EC%98%A4%EB%8A%98%20%EB%B3%91%EC%9B%90%EC%97%90%EC%84%9C%2001%20copy.jpg)
![53 오늘 병원에서 02 copy.jpg](https://static.wixstatic.com/media/0716ed_7f733551543340919c0acc09d2fd7773~mv2_d_1525_1816_s_2.jpg/v1/fill/w_423,h_501,al_c,q_80,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53%20%EC%98%A4%EB%8A%98%20%EB%B3%91%EC%9B%90%EC%97%90%EC%84%9C%2002%20copy.jpg)
의학만화를 그려보자는 큰 꿈을 꾸고 춘천에 왔건만 6개월이 지나도 지지부진했다. 그래서 일단 병원에서 일하면서 경험을 쌓아가자는 취지로 시작했던 검진센터에서의 일은 ‘이제는 관성이 되고 일상’이 되었다. ‘한편으로는 한국의 건강검진시스템에 대해서 좋은 점은 좋은 대로, 또 고칠 점은 없는지 함께 고민해’보고자 했는데 <검진실 블루스>를 통해 잘 드러났는지는 좀 의문이다. 왜냐면 보통 이런 주제를 다루면 대체로 재미가 없었고 그만큼 독자도 적었다. ‘건강검진을 좀 더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싶은 분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나름대로 노력했다는 생각은 든다. 하지만 아쉬운 점도 많다. 어떤 것은 너무 단순하고 또 어떤 것은 괜히 복잡하기만 했다. 마지막으로 ‘나를 돌아보는 기회’로는, 이건 누가 뭐래도 꽤나 효과적이었다. 젠장, 그렇다면 나한테만 도움이 되었단 말인가?
![60. 투덜 copy.jpg](https://static.wixstatic.com/media/0716ed_eb472cf758604909bb674021bbf16df6~mv2_d_1653_2520_s_2.jpg/v1/fill/w_509,h_776,al_c,q_85,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60_%20%ED%88%AC%EB%8D%9C%20copy.jpg)
연재 초기에는 대부분 이미 작업했던 것을 줄이고 다듬어서 보여드렸다. 40회가 지나서는 새로 만든 것이 하나둘 들어가기 시작했고 70화가 넘어가면 거의 다 새 작업이다. 가끔 너무 막히거나 할 게 없으면 발표하지 않은 예전 작업을 뒤져보는데 역시 대개는 재미가 없고 올리기에 부적절했다. 여기서 부적절은 내용이 너무 우울하거나 어두운 것, 내가 다루기에는 부담스럽게 큰 주제, 그리고 개인정보가 부정적으로 노출될 만한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아무리 ‘000 님’이라고 해도, 일부러 약간 다르게 그려도-닮게 그리려 해도 의도와 달리 닮지 않는 경우가 더 많기는 하지만-상황이나 묘사가 당사자라면 충분히 본인이라고 인식할 수 있는, 불편하거나 불쾌할 수 있는 것들이다. 물론 긍정적으로 표현한다고 해서 모두 양해되는 것도 또한 아닐 것이다. 해서 수위를 조절하는 것이 늘 고민이었다.
![젊은 친구 copy.jpg](https://static.wixstatic.com/media/0716ed_295d04e75b7143da97ce90b426557d03~mv2_d_1605_2317_s_2.jpg/v1/fill/w_520,h_750,al_c,q_85,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EC%A0%8A%EC%9D%80%20%EC%B9%9C%EA%B5%AC%20copy.jpg)
![딴 데선 copy.jpg](https://static.wixstatic.com/media/0716ed_b28023b167c2411a941deec874bc325f~mv2.jpg/v1/fill/w_291,h_641,al_c,q_80,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EB%94%B4%20%EB%8D%B0%EC%84%A0%20copy.jpg)
그러고 보면 <검진실 블루스> 초기에는 주로 기억에 남은 수검자가 주인공인 경우가 대부분인데 가면 갈수록 내 얘기가 나오기 시작하고 요즘엔 거기에 내 감정만 많이 드러내는 것도 있었다. 이유는 뻔하다. 소재가 떨어져서다. 소재가 바닥난 이유 역시 뻔하다. 건강검진 항목에서 다룰 만한 건 이미 다루었고 더구나 이제는 일이 능숙하기도 하고 또 바쁘다 보니 한 분, 한 분 수검자를 대할 때 개인적인 얘기를 할 기회도, 여유도 별로 없다.
그래도 더 해야겠다. 이것이 결론이다. <검진실 블루스>뿐만 아니고 멈춰있는 <초음파의 신>이나 구상했던 다른 작품도 말이다. 끝으로 독자 여러분께! 부족하지만 그래도 계속 재밌게 봐주십사 하는 염치없는 말로 감사의 인사를 대신하는 것을 용서해주시고, 그리고 꼭 건강하시기를!